본문 바로가기

『HERE』

덕수궁 돌담길, 늦은 가을 걸어본 가을 정취 가득한 풍경


방쌤의 여행이야기


덕수궁 / 덕수궁 돌담길 / 주말 나들이

덕수궁 중화전 / 덕수궁 석조전

덕수궁 늦가을 풍경



오랜만에 다시 찾은 서울

2시간 정도 밖에 여유가 없는 사정이라 가볼 수 있는 곳은 1-2곳 밖에 되지 않았다. 그럼 어디를 한 번 가볼까? 잠시 고민을 한 뒤 내가 선택한 오늘의 여행지는 서울 덕수궁이다. 가을 단풍이 곱게 물들었을 때 왔었다면 당연히 더 좋았겠지만 조금은 늦은 가을 살짝 차가운 바람이 불어오기 시작하는 계절에 만나는 덕수궁의 모습도 참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덕수궁의 원래 이름은 경운궁이었다. 광무 11년인 1907년에 고종은 일본의 압력에 의해서 순종에게 왕위를 내어주고 태황제로 물러나게 된다. 순종은 경운궁의 돈덕전에서 즉위식을 거행하고 이 때 태황제 고종의 궁호를 덕을 누리며 오래 살라는 의미로 '덕수' 라고 정했다고 한다. 그해 11월 고종은 경운궁에 남겨두고 순종만이 창덕궁으로 거처를 옮기면서 경운궁은 고종의 궁호를 따서 덕수궁으로 불리게 되었다








대한문

 

현재 덕수궁의 정문의 역할을 하고 있는 곳이다. 원래의 이름은 대안문이었지만 1904년 경운궁의 대화제로 불에 타서 없어졌던 내전 전각들의 중건이 마무리되면서 1906년에 수리를 하게 된다. 이때 대안이라는 이름이 불안하니 나라의 평안을 위해 '대한' 으로 이름을 바꾸자는 풍수상의 제안이 채택이 되어서 대한문으로 그 이름이 바뀌게 되었다. 1914년 지금의 태평로가 만들어지면서 지형이 돌출되어 있던 경운궁의 동쪽 담장과 포덕문이 헐려나갈 때 함께 뒤로 밀려나서 제자리를 잃게 되었다. 그 후 1968년 도시계획에 의해 태평로의 폭을 넓히면서 대한문은 다시 한 번 그 자리에서 14m나 되는 거리를 물러 앉게 되었다

 

사실 나는 광무개혁 당시 국호를 대한으로 선포하면서 대안문의 이름을 이렇게 바꾼 것인줄로만 알았다. 이런 숨겨진 사연이 있었다는 사실은 전혀 모르고 있는 분들도 정말 많을 것 같다.





대한문 너머로 살짝 먼저 눈에 담아보는 덕수궁

조금 늦은 시간이라 사람들이 그렇게 많지는 않았다.





항상 내가 제일 먼저 둘러보는 곳

입구를 지나서 오른쪽으로 들어가면 만나게 되는 돌담길이다. 왠지 덕수궁을 떠올리면 제일 먼저 생각나는 것이 바로 '돌담길'! 그래서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이상하게 나는 덕수궁을 찾게 되면 이 돌담길 먼저 둘러보게 된다.





곱게 물들었던 단풍도

이제는 그 색이 모두 바래져 간다.





가을에서 겨울로

새롭게 시작되는 계절을 맞이 할 준비를 하는 중이다.





지나가는 가을이 아쉬운지,,,


아직도 고운 색을 뽐내고 있는 단풍나무들이 곳곳에서 내 눈길을 붙잡는다.








사람들의 인기척이 없는 곳으로


조용하고 늦은 오후에는 조금만 귀를 기울여도 저 멀리에서 들리는 소리도 굉장히 크게 느껴진다. 사람들의 소리가 없는 곳들만 찾아 다니며 혼자 조용히 덕수궁과의 오랜만의 만남을 맘껏 즐겨본다.





처마 위 어처구니들(잡상)





이제는 겨울?


담장 아래 가득 쌓인 낙엽들이 겨울이 시작되고 있음을 알려준다.





정관헌으로 올라가는 길


그 옆으로 가득 쌓인 은행나무 잎들이 괜히 사람의 마음을 포근하게 만들어준다.








정관헌


정관헌은 러시아 건축가의 설계로 지은 건물인데 고종이 휴식을 취하거나 연회를 베출던 곳이다. 경운궁의 화제로 선원전이 불타서 없어지자 태조의 어진을 이 곳에 잠시 모시기도 했으며, 고종.순종의 어진 역시 이곳에 봉안하기도 했다.

 

서양식으로 지어진 건물이라 난간도 철제로 만들어졌지만 그 속에는 소나무, 사슴, 박쥐 등 우리의 전통적인 문양들 역시 남아있는 모습이다











이 길로 한 번 내려가볼까?


괜히 한 번 걸어보고 싶은 길





걷다 보면 아직도 단풍들이 곱게 물들어있는 곳들도 만나게 된다. 





담장 위, 바닥 위 가득 쌓인 은행나무 잎








붉게 물든 단풍 잎들과 그 모습을 함께 담아보기도 한다.





해가 천천히 넘어가고

덕수궁에도 조금씩 어둠이 드리우기 시작한다.





단풍나무와 함께 담아본 덕수궁 석조전. 유난히 붉게 물든 단풍나무 한 그루가 석조전과 함께하는 그 모습이 눈길을 사로잡았다.





조명에 하나 둘 불이 밝혀진다.


또 다른 분위기의 덕수궁을 만나게 되는 순간이다.




















그 속을 살짝 들여다 보기도 한다.





석조전 계단 위에 서서 아래로 내려다 본 모습





그 바로 옆으로는 중화전과 여러 건물들이 바로 지척에 위치하고 있다.





석조전

 

조선왕조에서 마지막으로 지어진 건물이다. 겉모습만으로만 판단하면 전혀 우리가 상상하는 그런 모습의 궁궐은 아니다. 누가 이 건물을 보고 조선시대에 지어진 마지막 궁이라고 생각을 할까? 외관은 19세기 초 유럽에서 유행했었던 신고전주의 양식을 따른 것이다. 영국인이 설계를 하고 일본의 토목회사에서 지은 건물, 우리의 궁이라고 부르기에도 뭔가 조금은 어색한 맘이 드는 것은 어쩔 수가 없는 것 같다

 

석조전은 대한제국 때 외국 사신들을 접견하는 곳으로 사용되었고 전체가 3층인데 1층은 접견장소, 반지하층은 시종인들의 대기장소, 2층은 황제의 거처로 사용했다고 한다. 광복 후에는 미소공동위원회 회의장, 국립중앙박물관, 국립현대미술관 등으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우리의 전통 궁궐과는 전혀 어울리지도 않고 외세의 입김에 따라 이리저리 흔들리던 조선왕조의 마지막이 느껴지는 것 같은 것은 나만의 생각일까?





드므는 '넓적하게 생긴 독' 이라는 뜻을 가진 순수한 우리말이다. 궁에서 주로 월대와 그 마당에 드므를 설치하고 안에 물을 담아두었다. 드므에 담긴 물에는 화기가 물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보고 놀라서 도망가기를 바라는 마음이 담겨져 있다.





준명당과 즉조당


준명당은 함녕전이 지어지기 전까지 고종의 침소로 사용. 덕혜옹주의 교육을 위해서 1916년 유치원이 개설되기도 하였다.





즉조당은 15대 광해군과 16대 인조가 즉위한 곳으로 1897년 고종이 경운궁으로 돌아온 후 중화전이 지어지기 전 까지 잠시 정전으로 사용하기도 했었다.








석어당


석어당은 덕수궁 안에 있는 유일한 2층 목조건물이다. 단청을 전혀 하지 않은 이런 건물들을 백골집이라고도 한다. 석어당은 광해군 때 인목대비가 유폐되었던 곳일 뿐 아니라 인조반정으로 폐위된 광해군이 문책을 당했던 건물이이고 하다. 지금은 건물은 화재로 1906년에 다시 지어진 것이다.





나오는 길에 마지막으로 마주하게 된 중화전








중화전

 

중화전은 고종이 러시아 공사관에서 덕수궁으로 거처를 옮긴 뒤 재위기간 내내 법전으로 사용하던 곳이다. 원래는 중층 건물이었지만 1904년의 화재로 소실된 후 1906년에 단층 건물로 다시 지어졌다. 다시 지어지는 과정에서 건물 전체의 구조에서 지붕이 너무 크게 올려져 안정감이 조금 부족하다. 다른 궁궐의 정전에 비해 그 격과 규모가 많이 약화된 단층의 형태에서 약간의 아쉬움이 남기도 했던 곳이다








중화전에서 내려다 본 중화문의 모습. 원래는 중화문 양 옆으로 길게 행랑들을 함께 두고 있었다고 한다. 화재로 소실이 되면서 지금의 모습으로 변하게 된 것인데 예전 그 모습은 과연 어떠했을지 궁금한 마음에 혼자 머리속으로 그 모습을 한 번 그려보기도 한다. 안타까운 마음이 계속 밀려오는 것은 어쩔 수가 없는 것 같다.





품계석








이제 나가야 할 시간인가?





늘 그렇듯 약간은 아쉬운 마음을 뒤로 하고 돌아 나가는 길. 시간적인 여유만 있다면 10일 정도 서울에 머무르면서 다시 한 번 모든 궁들을 꼼꼼하게 한 번 둘러보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아직도 모르는 것들이 너무도 많다는 사실이 아쉽기도 하고, 제대로 알고 싶다는 욕심이 들기도 한다.





연말 분위기가 느껴지는 서울의 거리





150만 촛불이 타오른 서울


만약 토요일에 서울로 올라갔다면 나도 분명 그 자리에 함께 있었을 것이다. 어느 한 시민분의 인터뷰 내용이 생각난다. 추운 날씨에 왜 거리로 나오셨냐는 질문에 '100만개의 촛불들 중 하나가 되고 싶었다' 라는 대답을 하신 분이 계셨다. 생각을 하고있는 사람들은 많지만 그 생각을 행동으로 옮기는 사람들의 수는 그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다. 시민들의 의식수준과 생각, 행동은 이렇게 발전하고 있는데, 왜 그들은 그리도 변화가 없는 것일까?


덕수궁을 천천히 혼자 거닐면서 많은 생각들을 하게 된 날이다. 옛 선조들에게, 또 후손들에게 적어도 부끄러운 모습을 보이지는 말아야겠다는 생각도 함께 하면서 말이다. 


즐겁게 보셨다면 공감도 꾸~욱

          

인스타, 스토리, 페북에서도 만나요^^

728x90
728x90